닌텐도 스위치 2 프로 컨트롤러 구입

이미지
대충 프로콘2로 불리는 이것 정가 109800원인 무시무시한 가격의 게임패드 다행히 롯데마트 제타의 첫 구매 혜택 할인으로 89820원에 구입 조금 맛이 갔지만 그래도 여전히 쓸만한 프로콘1을 가지고 있으나... 홈 버튼 누르기를 통한 슬립 모드 해제가 안된다는 것이 너무 불편해서 샀다ㅋㅋㅋㅋㅋ 책상에서 게임하는 플레이어면 상관없다는 의견을 봤는데 나도 책상 게이머지만 매번 스위치2 본체의 작은 전원 버튼을 누르는 건 매우 귀찮고 불편함 아무튼 프로콘1은 18년에 구입해서 지금까지 잘 사용했으니 슬슬 교체시기라고 정신승리하면서 샀다. 하단 중앙에 기존 프로콘1에는 없던 C(게임챗) 버튼이 추가됐는데 조이콘2의 C 버튼은 홈 버튼이랑 헷갈릴 때가 많다고 원성이 자자했던걸 생각하면 매우 적절한 위치 선정 콘솔3사중 유일하게 없어서 욕 먹었던 헤드폰 단자 스위치1쪽에서 끝까지 안 나왔다는 건 스위치1의 무선 연결 부분이 결함이 있어서 못했다고 봐야 백 버튼 내가 프로콘2 이전에 유일하게 구입하고 써본 백버튼 제품이 8bitdo의 SN30 Pro 2인데 Pro 2의 경우 PC에서 전용 프로그램으로 할당해서 프로필 3개를 저장해놓고 상황마다 전환 버튼 누르면서 쓰는 방식이었다. 프로콘2의 경우 당연히 공식이 내놓은 제품이니 그냥 기기 OS에서 바로 설정이 가능하고 게임마다 다르게 설정이 가능해서 매우 편하다. 언젠가 서드에서 뚫어버리면 퇴색될 장점일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현재로선 프로콘2가 최고

슈퍼맨 (2025)

이미지
  '메시아'가 아닌 '히어로' 슈퍼맨 비장하지 않은 순수한 슈퍼맨을 그린 따뜻한 이야기였다... 근데 영화 인트로부터 블레이드 러너 마냥 설명글 주르륵으로 시작하는 건 내부에서 말리는 사람이 없었나...아무리 생각해도 히어로 영화 1편에서 할 짓은 아니라고 생각함 대충 구성한듯한 가상 국가들을 이용해서 중동에서 벌여지는 전쟁에 일갈하지만 할리우드의 현실을 생각하면 쓴웃음이 나올 수 밖에 없음...다루는 것 자체가 용기 있는 행동이라고 하면 뭐라 할 말이 없긴 하다.

킨들 단말기 광고 제거(Remove offers) 옵션 활성화하기

이미지
 준비물 : $20, 미국 주소(배대지 주소 가능), 새로 등록할 해외 결제 브랜드 카드 과거에는 채팅 상담으로 미국 밖이니까 미국쪽 광고 보기 싫다고 한마디 해주면 바로 광고를 제거해줬지만 최근에는 그런 편법을 잘 받아주지 않는다고 한다. 지금은 정석대로 돈을 지불하고 제거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거 같다. Manage Your Content and Devices - Devices 탭에 들어가서 Remove offers를 통해 20불을 결제하면 광고를 바로 제거해주는데 문제는 일부 사용자들은 돈을 줘가면서 광고를 지우겠다고 해도 오류만 띄우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  대충 검색해보니 모든 설정을 미국으로 바꿔줘야 광고 제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1. 아마존 계정 주소록의 기본 주소록을 미국 주소로 변경 2. Manage Your Content and Devices - Preferences - Country/Region Settings에서 미국 주소를 고르고 미국 국적으로 변경 3. Your Payments - Settings - Change Preference에 들어가서 결제지 주소도 미국 주소로 변경 4. 1~3을 다 해도 주소를 확인해달라는 오류가 나오면 다른 카드를 등록해서 재시도 성공하면 20불을 지불하고 없앨거냐고 묻는 창을 이제 볼 수 있다.   결제 후 킨들 단말기에서 바로 광고가 제거된다.

닌텐도 스위치 2 발표 감상

이미지
  1. 최악만은 피한 본체 가격, 일본 시장 사수를 위한 처절한 몸부림 64만 8천원은 아슬아슬하게 세이프인 가격 책정 같다. 그리고 일본 내수 전용 본체 49980엔은 진짜 누구도 예상 못 한 비책인 듯; 거기서 5만엔을 초과하는 순간 가정에서 스위치로 게임하는 모습은 사라질 것이라는 게 정설이었으니 2. 소프트웨어 가격이 돌았다 풀 프라이스 $60 → $70 인상도 상당히 논란이 컸었는데 우리 닌텐도는 냅다 $80을 박아버리셨다. 대형 게임사들은 닌텐도가 아주 고마울 듯... 먼저 욕 먹어줬으니 다들 기쁜 마음으로 80 시대에 탑승할 듯 3. 게임계에서 저속 스토리지 완전 퇴출 떠돌던 루머대로 내장 스토리지는 UFS, 확장 스토리지는 PCIe 3.0x1 속도를 뽑아내는 SD 익스프레스 카드를 채용함으로써 고속 스토리지가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게임카드 패키지판이 어떻게 나올까 싶었는데 그냥 고속 플래시 메모리로 제조ㅋㅋㅋㅋ덕분에 게임값이 미쳐버린듯 저렴하게 내고 싶은 게임들은 그냥 물리적 DRM 인증키인 '키 카드' 형태로 출시하는 형태로 해결한 거 같다. SD 익스프레스 카드가 이제 상용화 단계인 탓에 매우 비싸서 여러 원성을 듣고 독자규격 메모리카드처럼 취급하는 사람들이 보이는데 이건 뭐 시간이 해결해줄 문제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표준 규격'이고 스위치2를 계기로 제대로 자리를 잡으면서 가격 하락을 노려볼만하다.